지금까지 우리는 교육사회학의 다양한 이론과 관점들을 살펴보았다. 기능주의, 갈등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부터 문화재생산 이론, 비판교육학, 디지털 교육 등에 이르기까지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분석하는 풍부한 이론적 자원들을 검토했다. 이제 마지막 회에서는 이러한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재고찰하고, 교육사회학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 그리고 교육사회학적 관점이 미래 교육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모색해 본다. 특히 사회적 불평등 해소, 대안교육 모델,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논의한다.교육사회학 이론의 종합적 재고찰거시이론과 미시이론의 통합적 접근교육사회학 이론들은 크게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거시이론(macro theory)은 사회 구조와 제도적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