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20

사회이론 15. 현대 사회문제와 사회이론의 적용

지금까지 우리는 고전 사회이론부터 현대 사회이론까지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틀을 현대 사회의 주요 문제와 현상에 적용하여 분석하고, 각 이론이 제공하는 통찰과 한계를 검토한다. 우리가 살펴볼 주요 현대 사회문제는 불평등과 계층화, 다문화주의와 이민, 디지털 전환과 기술 변화, 그리고 환경 위기와 지속가능성이다.불평등과 계층화: 다양한 이론적 시각현대 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는 지속적이고 때로는 심화되는 사회적 불평등이다. 경제적 불평등, 젠더 불평등, 인종적 불평등 등 다양한 차원의 불평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상을 여러 사회이론은 어떻게 설명하는가?마르크스주의와 신마르크스주의적 접근마르크스의 계급이론은 여전히 경제적 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14. 종합: 거시이론과 미시이론의 통합적 시각

사회학 이론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거시이론과 미시이론의 대립은 핵심적인 긴장 중 하나였다. 거시이론은 사회 구조, 제도, 문화와 같은 큰 단위에 초점을 맞추고, 미시이론은 일상적 상호작용, 의미 구성, 개인 행위에 주목한다. 이러한 이분법적 구분은 사회 현실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하에, 현대 사회이론에서는 이 두 관점을 통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거시이론과 미시이론의 통합을 추구한 주요 이론가들의 시도와 그 의의를 살펴본다.거시이론과 미시이론의 대립거시이론의 특징과 한계거시이론은 사회 전체의 구조와 제도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법이다. 마르크스의 계급이론, 듀르켐의 사회적 사실 개념,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 등이 대표적인 거시이론이다. 이러한 이론들은 사회를..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13. 현대 사회이론의 흐름: 구조화 이론, 문화사회학, 맥도날드화 등

현대 사회이론은 고전 이론과 포스트모던 사상 사이의 다양한 이론적 시도들을 포괄한다.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발전해온 여러 사회이론은 급변하는 사회 현실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강의에서는 앤서니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 조지 리처의 맥도날드화 이론 등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주요 이론적 흐름을 살펴본다.앤서니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로, 그의 '구조화 이론'(structuration theory)은 행위자와 구조 사이의 이분법을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기든스는 "사회의 구성"(The Constitution of Society, 1984)에서 이 이론..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12. 포스트구조주의·포스트모던 사회이론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던 사회이론은 1960년대 이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전한 이론적 흐름으로, 기존의 구조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이 이론들은 진리, 지식, 주체, 권력 등에 대한 전통적 관념에 의문을 제기하며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대안적 시각을 제공한다.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구조주의는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의 언어학,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의 인류학 등에서 발전한 이론 패러다임으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기저의 구조와 체계에 주목한다. 구조주의는 개별 현상보다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 관계를 중시한다.포스트구조주의는 이러한 구조주의의 한계를 비판하며 등장했다. 구조주의가 상정하는 고정된 구조, 보편적 법칙, 객..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11. 페미니즘 이론(Feminist Theory)

페미니즘 이론은 단일한 관점이 아닌 다양한 사상적 흐름을 포괄하는 이론적 틀이다. 초기 자유주의 페미니즘에서 시작하여 급진적,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까지 발전해온 이 이론은 젠더 불평등의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페미니즘 이론의 역사적 발전페미니즘 이론은 크게 세 가지 '물결(wave)'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물결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한 자유주의 페미니즘이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Mary Wollstonecraft)와 같은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참정권과 교육권을 주장했다. 이들은 계몽주의적 관점에서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이성적 존재임을 강조하며 법적, 정치적 평등을 요구했다.두 번째 물결은 1960-70년대 여성해방운..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10. 비판이론과 프랑크푸르트 학파 - 자본주의 문화와 이성의 비판

비판이론의 등장 배경과 의의비판이론(Critical Theory)은 1920년대 후반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설립된 사회연구소(Institute for Social Research)에서 시작된 이론적 전통이다. 흔히 '프랑크푸르트 학파'로 불리는 이 이론가 집단은 마르크스주의의 비판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전통적 마르크스주의가 경제 결정론에 치우쳐 문화, 의식, 일상생활의 차원을 간과했다고 비판했다.비판이론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파시즘의 등장,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전후 자본주의의 변화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다. 특히 나치즘의 등장과 함께 많은 프랑크푸르트 학파 학자들(대부분 유대계)이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그들의 이론은 미국 사회와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9. 교환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 - 행위자의 전략적 선택과 사회적 교환

교환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의 등장 배경교환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은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이 지나치게 사회 구조를 강조하고 개인의 행위자성(agency)을 간과한다는 비판에서 발전했다. 이들 이론은 경제학적 사고방식을 사회학에 적용하여, 개인의 합리적 선택과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활발히 발전한 이 접근법들은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사회 구조와 집합적 행동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교환이론의 기본 개념과 주요 학자들조지 호만스와 초기 교환이론교환이론의 초기 형태를 발전시킨 조지 호만스(George C. Homans)는 논문 "사회적 행동으로서의 교환(Social Behavior as Exchange)"(1958)과 저서 『사회적 행동: 그 기본 ..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8. 상징적 상호작용론 - 일상의 미시적 상호작용과 의미 구성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등장 배경상징적 상호작용론은 20세기 초 미국의 실용주의 철학과 시카고학파 사회학의 영향 아래 발전한 미시사회학적 이론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구조기능주의나 갈등이론이 사회 구조와 제도의 거시적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면,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개인 간 상호작용과 의미 구성 과정이라는 미시적 차원에 주목한다. 이 이론은 사회 현실이 고정된 객관적 실체가 아니라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과 의미 해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다.주요 이론가와 핵심 개념조지 허버트 미드와 사회적 자아 이론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지적 기반을 마련한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는 그의 저서 『정신, 자아, 사회(Mind, Self, and Society)』에서 자아의 사회적 발달 과정을..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7. 갈등이론 - 사회 불평등과 권력투쟁의 분석

갈등이론의 등장 배경과 의의갈등이론은 구조기능주의가 지나치게 사회의 안정과 합의를 강조한다는 비판에서 출발한 이론적 관점이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걸쳐 활발히 발전한 이 이론은 사회를 구성하는 집단들 간의 권력 불균형과 자원을 둘러싼 경쟁, 갈등에 초점을 맞춘다. 갈등이론은 칼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현대 갈등이론가들은 마르크스의 경제결정론을 넘어 더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갈등과 권력 관계를 분석한다.마르크스주의 전통과 현대 갈등이론의 확장칼 마르크스의 계급투쟁론갈등이론의 가장 중요한 지적 원천인 마르크스는 사회 역사를 계급 간 투쟁의 역사로 보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을 소유한 부르주아(자본가 계급)와 노동력만을 가진 프롤레타리아(노동자 계급) 사이의 ..

Sociology 2025.04.08

사회이론 6. 구조기능주의 - 사회의 균형과 안정을 설명하는 이론

구조기능주의의 핵심 개념과 발전구조기능주의는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처럼 바라보는 관점으로, 각 사회 제도와 구조가 사회 전체의 안정과 균형을 위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본다. 이 이론은 뒤르켐의 기능주의적 사고에서 출발하여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학계에서 주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와 로버트 머튼(Robert K. Merton)은 구조기능주의 이론을 정교화하고 체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탈콧 파슨스의 사회체계이론파슨스는 사회를 상호 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된 하나의 체계(system)로 보았다. 그의 저서 『사회체계(The Social System)』에서 사회가 어떻게 균형과 질서를 유지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AGIL 도식을 제시했다:적응(Adaptat..

Sociology 2025.04.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