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20

경제사회학 15. 미래 경제의 새로운 의제: 탈성장·기후경제·AI 경제가 그려내는 변화의 지평

21세기를 관통하는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일까? 200년 넘게 지속되어온 산업자본주의의 기본 전제들이 도전받고 있다. '더 많이, 더 빨리, 더 크게'라는 성장 지상주의는 지구 환경의 한계에 부딪혔고, 인공지능의 등장은 인간 노동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홍수가 일상이 되었고, ChatGPT 같은 AI가 변호사와 의사의 일까지 대신하기 시작했다.이런 변화는 단순히 기술적 혁신이나 환경 문제의 차원을 넘어선다. 경제 시스템 자체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무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경제학의 기본 가정이 흔들리고, 인간의 노동이 기계로 대체될 때 우리 사회는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탈성장, 기후경제, AI 경제라는 세 가지 키..

Sociology 2025.05.27

경제사회학 14. 경제위기 사회학: 1997년 외환위기·2008년 금융위기·2020년 코로나19 위기의 사회적 영향과 변화

경제위기는 단순히 주식이 떨어지고 기업이 부도나는 문제가 아니다. 한 사회의 모든 영역을 뒤흔들어놓는 거대한 지각변동이다.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한국 사회가 겪었던 변화를 떠올려보자. 대기업들이 줄줄이 무너지고 대량해고가 이어지면서, 그때까지 안정적이라고 여겨졌던 중산층의 삶이 하루아침에 무너졌다. 가장이 실직하면서 가족이 해체되고, 자녀들이 학업을 포기하는 일이 속출했다. 사회 전체의 신뢰 구조가 흔들리고, 새로운 생존 전략이 필요해졌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또 다른 충격이었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시작된 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경제의 글로벌화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줬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은 아예 다른 차원의 위기였다. 경제활동 자체가 멈춰서면..

Sociology 2025.05.27

경제사회학 13. 비교자본주의: 조정시장경제와 자유시장경제 모델의 다양성과 경쟁

같은 자본주의라고 해도 나라마다 그 모습은 완전히 다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에서 벤처기업가들이 차고에서 창업하는 모습과 독일의 제조업체에서 노사가 함께 경영진에 참여하는 모습은 같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도 전혀 다른 풍경이다. 한국의 대기업 총수들이 정부 관료들과 만나는 장면과 북유럽 국가들의 높은 세율과 복지 시스템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차이는 단순한 문화적 차이가 아니라 자본주의라는 경제 체제가 각 사회의 역사적, 제도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발전해온 결과다.자본주의의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비교자본주의(comparative capitalism) 연구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냉전이 끝나고 사회주의 국가들이 시장경제로 전환하면서, 어떤 형태의 자본주의가 더 효율적이고 지속..

Sociology 2025.05.27

경제사회학 12. 경제와 문화의 상호작용: 가치·기호·소비문화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경제 논리

스타벅스 커피 한 잔이 5천 원인 이유는 무엇일까? 원두와 우유, 설탕의 원가만 따지면 몇백 원에 불과하다. 하지만 사람들은 기꺼이 그 가격을 지불한다. 여기에는 브랜드 가치, 공간의 의미, 소비의 상징성 등 문화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현대 경제에서 문화는 단순한 부가요소가 아니라 경제 활동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문화를 '선호'나 '취향'이라는 개념으로 단순화해서 다뤘다. 하지만 경제사회학에서는 문화가 경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어떻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경제 구조를 변화시키는지를 깊이 있게 탐구한다.문화경제학의 등장과 의미문화경제학(cultural economics)은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예술과 문화 분야의 경제적 특성..

Sociology 2025.05.27

경제사회학 11. 비공식 경제의 이중적 얼굴: 그림자경제와 공유경제가 보여주는 새로운 경제 질서

현대 경제는 공식적인 시장과 제도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GDP 통계에 잡히지 않는 거대한 경제활동들이 우리 주변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노점상에서 파는 떡볶이부터 에어비앤비 숙박까지, 세금을 내지 않는 과외비부터 우버 드라이버의 수입까지, 이 모든 것들이 비공식 경제의 일부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규제 밖의 활동'으로 치부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고 다층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비공식 경제의 개념과 범위비공식 경제(informal economy)는 공식적인 제도나 규제의 테두리 밖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을 포괄한다. 하지만 이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하다. 무엇이 '공식적'이고 무엇이 '비공식적'인지는 사회마다, 시대마다 다르게 정의되기 때문이다.경제학자 키스 하트(Keith Hart)가 19..

Sociology 2025.05.27

경제사회학 10. 플랫폼 경제: 데이터 독점과 노동 재구성으로 본 디지털 자본주의의 새로운 동학

21세기 들어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플랫폼 경제는 기존 자본주의의 작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메타), 애플로 대표되는 빅테크 기업들은 전통적인 제조업이나 서비스업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부를 축적한다. 이들은 물리적 생산보다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 네트워크 효과의 활용, 플랫폼을 통한 매개 서비스에 의존한다.플랫폼 경제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적 혁신을 넘어서 경제 시스템 전체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한다. 소유에서 접근으로, 고용에서 프리랜서로, 상품에서 서비스로, 물리적 자산에서 데이터 자산으로 경제 활동의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형태의 권력 관계가 형성되고, 노동의 성격이 변화하며, 불평등의 양상도 달라지고 있다.특히 데..

Sociology 2025.05.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