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와 블루머를 중심으로 본 인간 상호작용의 미시적 세계지금까지 우리는 뒤르켐, 마르크스, 베버의 고전 이론과 구조기능주의, 갈등이론 등 주로 거시적 관점의 사회학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시선을 미시적 수준으로 옮겨 일상적 상호작용과 의미 형성에 초점을 맞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을 살펴본다.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와 허버트 블루머(Herbert Blumer)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 상호작용의 상징적 본질과 의미 구성 과정을 탐구한다.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지적 배경과 기본 전제미국 실용주의 철학의 영향상징적 상호작용론은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에서 발전한 실용주의(pragmatism) 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