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95

사회학개론 9.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

미드와 블루머를 중심으로 본 인간 상호작용의 미시적 세계지금까지 우리는 뒤르켐, 마르크스, 베버의 고전 이론과 구조기능주의, 갈등이론 등 주로 거시적 관점의 사회학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시선을 미시적 수준으로 옮겨 일상적 상호작용과 의미 형성에 초점을 맞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을 살펴본다.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와 허버트 블루머(Herbert Blumer)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 상호작용의 상징적 본질과 의미 구성 과정을 탐구한다.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지적 배경과 기본 전제미국 실용주의 철학의 영향상징적 상호작용론은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에서 발전한 실용주의(pragmatism) 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Sociology 2025.04.05

사회학개론 8. 갈등이론(Conflict Theory)의 현대적 전개

다렌도프와 콜린스를 중심으로 본 현대 갈등이론의 확장마르크스의 갈등이론은 20세기 중후반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며 새로운 이론적 전망을 제시한다. 1950-60년대 구조기능주의의 지배적 패러다임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현대 갈등이론은 마르크스의 계급 중심 분석에서 벗어나 권력, 권위, 지위 등 더 다양한 갈등 원천에 주목한다. 이번 강의에서는 랄프 다렌도프(Ralf Dahrendorf)와 랜들 콜린스(Randall Collins)의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 갈등이론의 확장을 살펴본다.마르크스주의 갈등이론의 한계와 현대적 확장의 필요성마르크스 갈등이론의 핵심과 한계마르크스 갈등이론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사회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른 계급 간 갈등의 장이다경제적 요인(하부구조)이 사회 불평등과 갈등의 근본 ..

Sociology 2025.04.05

사회학개론 7.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의 발전

파슨스와 머튼의 구조기능주의 이론고전 이론가 뒤르켐의 기능주의적 관점은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학계에서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와 로버트 머튼(Robert K. Merton)에 의해 더욱 체계화되고 발전한다. 이들의 '구조기능주의'는 오랫동안 미국 사회학의 주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으며, 사회를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는 관점을 정교화했다.탈콧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행위이론에서 사회체계론으로파슨스는 초기에 '행위이론'에서 출발하여 점차 '사회체계론'으로 이론의 범위를 확장했다. 그의 이론 발전은 개인 행위자의 의도적 행위에서 시작하여 사회 전체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는 거시적 이론으로 나아간다.『사회적 행위의 구조』(1937)에서 파슨스는 베버, 뒤르켐, 파레토, 마셜 등 고전 이론가들의 ..

Sociology 2025.04.05

사회학개론 6. 고전이론 종합 비교

뒤르켐, 마르크스, 베버의 사회학적 시각 비교사회학의 기본 틀을 세운 고전 이론가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사회를 해석했다. 이번 시간에는 에밀 뒤르켐, 카를 마르크스, 막스 베버의 핵심 관점과 개념을 비교하고 이들이 현대 사회학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세 거장의 사회학적 관점 차이뒤르켐의 구조기능주의적 관점뒤르켐은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처럼 바라본다. 그에게 사회는 개인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그 이상의 독자적인 실체로, '사회적 사실'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사회적 사실은 개인에게 외재적이면서도 강제력을 지닌 특성을 가진다.뒤르켐의 핵심 관심사는 '사회 질서의 유지'와 '사회 통합'이다. 그는 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의 변화 과정을 통해 사회 변동을 설명하고, 아노미(anomie) 개념..

Sociology 2025.04.05

사회학개론 5. 막스 베버의 사회학

베버, 근대성을 해석하다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는 독일의 사회학자로, 에밀 뒤르켐, 카를 마르크스와 함께 현대 사회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베버는 방대한 역사적, 비교문화적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했다. 특히 그는 합리화(rationalization) 과정을 통해 근대 서구 사회의 특징적 발전을 설명했으며, 이를 통해 근대성(modernity)의 본질과 그 모순을 포착하려 했다.베버의 연구는 사회학적 방법론에서부터 종교, 경제, 관료제, 권력, 정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아우른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단순히 개별 현상에 대한 분석을 넘어, 인간 사회의 보편적 특성과 역사적 전개 과정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다. 이것이 베버가 오늘날까지도 사회과학의 거..

Sociology 2025.04.05

사회학개론 4. 카를 마르크스와 갈등이론의 기초

마르크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카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는 19세기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경제학자, 사회학자다. 베를린 대학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한 마르크스는 당시 독일의 지적 풍토를 지배하던 헤겔 철학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그러나 곧 헤겔의 관념론을 비판하고 유물론적 관점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그의 사회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마르크스가 활동하던 시기는 산업혁명이 절정에 이르고 자본주의가 급속도로 발전하던 때였다. 산업화의 진전으로 공장 노동자 계급(프롤레타리아트)이 형성되었고, 이들의 열악한 노동 조건과 빈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1848년 유럽 전역에서 발생한 혁명적 움직임은 정치적·사회적 변화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었다.이러한 배경 속에서 마르..

Sociology 2025.04.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