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ublic Administration 60

행정학개론 10. 정부 규제와 공공서비스 이론 - 국가 개입의 적정선을 찾아서

시장은 완벽하지 않다. 독점, 외부효과, 정보 비대칭 등의 문제로 시장 실패가 발생하고, 이때 정부가 개입한다. 그러나 정부 역시 완벽하지 않아 정부 실패가 일어나기도 한다. 오늘은 정부 규제와 공공서비스 이론을 통해 '언제, 어떻게, 얼마나'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의 역사를 살펴보자.정부 규제의 이론적 기반시장 실패와 정부 개입의 정당성정부 규제의 가장 기본적인 정당화 근거는 '시장 실패(Market Failure)'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 항상 최적의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인식이다. 시장 실패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독점과 과점(Monopoly & Oligopoly): 소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면 경쟁이 제한되고 가격이 상승하며 효율성이 저하된다. 이에 ..

행정학개론 9. 재무행정 이론 - 공공재원의 지혜로운 관리

정부가 국민을 위한 정책을 실현하려면 돈이 필요하다. 정책이 아무리 훌륭해도 재원이 없으면 공허한 구호에 그치고 만다. 재무행정은 이렇게 정부 활동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 효율적으로 배분하며, 책임 있게 관리하는 과정을 다루는 행정학의 핵심 영역이다. 오늘은 재무행정의 기본 개념부터 예산 이론, 현대적 쟁점까지 살펴보자.재무행정의 개념과 중요성재무행정의 정의와 범위재무행정(Financial Administration)은 정부가 공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 관리하는 모든 활동을 포괄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입 확보(조세 정책), 예산 편성과 집행, 회계와 감사, 정부 부채 관리 등을 포함한다.좁은 의미에서는 예산 과정에 초점을 맞추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재정 정책(fiscal poli..

행정학개론 8. 인사행정 이론 - 정부 경쟁력의 핵심, 사람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행정의 성패는 결국 사람에 달려있다. 아무리 좋은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도 이를 실행할 유능한 인재가 없다면 모래성에 불과하다. 인사행정은 정부 조직의 인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관리하는 모든 활동을 다루는 행정학의 핵심 분야다. 오늘은 인사행정의 역사적 발전과 주요 이론, 그리고 현대 행정에서의 적용에 대해 살펴보자.인사행정의 역사적 발전엽관주의(Spoils System)에서 실적주의(Merit System)로현대적 인사행정 체계가 확립되기 전, 많은 나라에서는 '엽관주의'가 지배적이었다. 선거에서 승리한 정당이 자신들을 지지한 사람들에게 공직을 '전리품(spoils)'처럼 나눠주는 관행이었다. 앤드루 잭슨 미국 대통령 시기(1829-1837)에 극대화된 이 시스템은 공직의 전문성과 안정성을 심각하..

행정학개론 7. 조직행태와 동기이론 - 인간이 이끄는 행정의 심리적 기반

조직 내에서 사람들은 왜 열심히 일할까? 어떤 리더가 조직을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을까? 행정학에서 조직행태와 동기이론은 이런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 주목한다. 단순히 조직도와 규정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조직 속 사람들의 행동 원리를 파헤쳐보자.조직행태론의 등장 배경20세기 초반까지 행정이론은 주로 조직의 구조와 공식적 측면에 집중했다. 웨버의 관료제나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은 모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접근법이었지만, 인간을 단순한 생산요소로만 취급했다는 한계가 있었다.이런 기계적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930년대부터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호손실험으로 유명한 엘튼 메이요의 연구는 작업 환경보다 인간 관계와 사회적 요인이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

행정학개론 6. 조직이론(1): 구조와 설계 - 행정조직의 기본 구조와 특성

행정학에서 조직이론은 핵심적인 영역으로, 공공조직의 구조와 운영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번 6회차에서는 조직이론 중에서도 조직구조와 설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조직구조는 조직의 뼈대를 형성하고, 구성원들의 행동 양식과 상호작용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1. 조직과 조직이론의 기본 개념1.1 조직의 개념과 특성조직(Organization)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구조화된 사회적 단위이다. 조직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목표 지향성: 조직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존재한다.사회적 구성체: 조직은 사람들의 집합체로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구조화된 활동: 조직 내 활동은 체계적으로 분업화, 조정화되어 있다.환경과의 상호작용: 조직은 외부 환경과 끊임없..

행정학개론 5. 공공정책과정 이론 - 정책의 수립부터 평가까지

지금까지 행정학의 기본 개념과 주요 이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5회차에서는 행정의 핵심 활동인 '공공정책'에 초점을 맞춘다. 공공정책은 정부가 추구하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방침으로, 현대 행정의 본질적 요소이다. 특히 정책과정에 관한 이론들은 복잡한 정책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1. 공공정책의 개념과 특성1.1 공공정책의 개념공공정책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정부가 공익 실현을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한 행동 방침 또는 비행동(inaction)"으로 정의할 수 있다.토마스 다이(Thomas Dye): "정부가 하기로 결정한 것 또는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제임스 앤더슨(James Anderson): "특정 문제나 관심사에 대응하여 정책행위자가..

행정학개론 4. 비교행정·발전행정론 - 국가 발전을 위한 행정의 역할

지금까지 살펴본 행정이론들이 주로 미국과 서구 선진국의 맥락에서 발전한 것이라면, 이번 4회차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신생 독립국가들과 개발도상국의 행정 문제에 초점을 맞춘 비교행정론과 발전행정론에 대해 살펴본다. 이 이론들은 서로 다른 국가와 사회의 행정 체계를 비교하고, 국가 발전을 위한 행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 비교행정론(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의 등장1.1 비교행정론의 배경과 의의비교행정론은 1950-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행정학의 한 분야로, 다양한 국가와 사회의 행정 체계를 비교 연구하여 행정에 대한 일반화된 이론을 구축하려는 시도이다.1.1.1 비교행정 연구의 배경비교행정 연구가 활발해진 배경에..

행정학개론 3. 신행정학과 행태주의적 접근 - 가치와 행동 중심의 행정이론

앞서 살펴본 고전적 행정이론들이 조직의 구조와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발전한 행정학 이론들은 인간의 행태와 가치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3회차에서는 행정행태론과 신행정학을 중심으로 행정학이 어떻게 인간 중심적, 가치 지향적 학문으로 발전했는지 살펴본다.1. 행정행태론(Administrative Behavior Theory)의 등장1.1 행정행태론의 배경1940년대 행정학은 고전적 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행정행태론 등장의 배경이 되었다.고전이론의 한계 인식: 기계적, 구조적 접근법만으로는 행정 현상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심리학, 사회학의 영향: 행동과학의 발전으로 인간 행동에 대..

행정학개론 2. 고전적 행정이론 - 관료제, 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론 이해하기

행정학의 기본 개념과 발전 과정을 살펴본 1회차에 이어, 이번에는 행정학의 기초를 형성한 고전적 행정이론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고전적 행정이론은 20세기 초반 형성되어 현대 행정학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으며, 오늘날까지도 행정 실무와 조직 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1. 막스 베버(Max Weber)의 관료제 이론막스 베버는 독일의 사회학자로, 근대 조직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상적 관료제(ideal bureaucracy)' 모형을 제시했다. 베버의 관료제 이론은 현대 정부 조직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관료제의 특성베버가 제시한 이상적 관료제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계층제(Hierarchy): 명확한 상하관계와 권한의 계층적 구조를 통해 조직을 체계..

행정학개론 1. 행정학의 개념과 발전 과정 - 정치와 행정의 관계 이해하기

행정학개론 시리즈를 통해 행정학의 핵심 개념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첫 회차에서는 행정학의 기본 개념, 학문적 의의, 그리고 역사적 발전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과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1. 행정학의 개념과 정의행정학은 공공 부문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학문으로, 국가와 사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국가 운영의 핵심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 조직, 공공정책,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등에 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해 공익 실현의 방법을 탐구한다.1.1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차이행정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근본적 차이를 인식해야 한다. 민간기업이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

반응형